PJ820 프로젝터캠코더를 사용해보면서 느낀점 프로젝터가 가정에 필요할까 ? 라는 의문을 많이들 합니다. 저 역시도 항상 고민하고 또 고민하는 부분이죠. 요즘은 저가형 프로젝터 들이 많이 있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선뜻 구매하려는 마음이 생기지가 않더라구요. 그런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캠코더에 프로젝터가 포함된 소니 PJ820 은 참 효자스러운 녀석인것 같습니다. 캠코더로 찍은 아이들의 모습을 프로젝터를 통해 바로 바로 확인도 가능하고, HDMI 케이블을 연결하여 TV로도 볼 수 있으니 참으로 편리한 부분이 많네요^^; 캠코더를 사용하여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PC로 옮기거나 TV로 연결하거나 할 필요 없이. 바로 바로 벽에다 프로젝터로 뿌려주면 되니 조금만 어둡고 프로젝터를 쏠 공간만 된다..
소니 PJ820 프로젝터캠코더 손떨림방지 보정 B.O.SS 기능 리뷰 아마추어의 영상 촬영 부분에서 가장 힘든 부분 중의 하나가 바로 흔들림입니다. 프로들과 같이 전문 장비나 기술이 없다면 기껏 촬영한 영상들이 멀미가 날 정도로 흔들림이 가득하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텐데요, 지난 포스팅에서 영상편집 툴을 이용한 손떨림 보정효과나, 최근 유투브 같은 곳에서는 영상을 업로드시 손떨림보정효과를 웹상에서 제공을 하지만, 분명 원본에 대한 왜곡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각 피사체의 위치나 거리 등 제약사항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프리미어 손떨림보정 효과 비틀기 안정기(adobe premiere cs6 warp stabilizer) 오늘은 이러한 부분에서 놀라울 정도의 손떨리보정 및 손떨림방지 기능을 갖고 있..
소니캠코더 PJ820 화질 리뷰- 소니 클리어 이미지 줌 & Exmor R Cmos 저번 PJ820 개봉기에 이어 오늘은 소니 캠코더 PJ820 에 대한 이미지 센서 및 화질에 대한 리뷰를 해 보고자 합니다. [영상 촬영 & 편집] - 소니 캠코더 추천 PJ820 프로젝터캠코더 개봉기 이번 PJ820 모델에는 2450만 화소 이면조사형 Exmor R CMOS 센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일반 센서들에 대비하여 약 2배의 수광률을 갖고, 빛이 적은 어두운 곳에서 녹화를 하여도 밝게 찍을 수 있으면서 노이즈를 최대한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소니캠코더 PJ820 화질 리뷰- Exmor R Cmos 날씨가 맑은 화창한 낮시간 대라면 스마트폰이든, 디카든, 캠코더든 모두 화면이 이쁘게 잘 나옵니다. 하지만, 빛이..
소니 캠코더 추천 PJ820 프로젝터캠코더 개봉기 왜 캠코더 추천을 하는가 ? 요즘 각 가정에 디지털카메라나 DSLR 카메라를 없는 사람을 찾아 보기가 힘들정도로, 보편화 되어 있는 것이 카메라입니다. 이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도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이제는 언제 어디서나 사진을 찍고 동영상을 찍고 편집까지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어디까지나 주 목적이 전화에 있어, 고퀄리티 영상이나 사진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디지털카메라는 최근들어 저렴한 가격에 HD 동영상을 제공하는 기종들이 늘어가고 있으나, 말만 HD이고 실제로 큰 화면에 영상을 재생시켰을 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VDSLR 이라고 하여, DSLR로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영화나 C..
프리미어 프로 영상 자르기 오늘은 영상 편집의 가장 기본 부분이 되는 것 중 하나인 영상 자르기 및 붙이기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편집 툴은 프리미어 프로 CS6 버젼입니다. 크게 메뉴 부분이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버전을 사용하신다고 하더라도 쉽게 사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살짝 추천 한번 해 주시고 시작해볼까요 ? 프리미어 프로 영상 자르기 1. 편집할 영상을 먼저 불러와 줍니다. 어느 부분을 짜르고 붙일지는 먼저 파일 재생을 통해서 대략적으로 파악을 해 주시구요, 2. 왼쪽 도구 모음 중 자르기 도구를 눌러준 후, 해당 원하는 지점에 갖다 대고 클릭을 하면, 영상 자르기가 이루어집니다. 3. 자르기 도구를 이용하여 클릭을 하게 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경계선이 이루어지면서 영상이..
프리미어 h264 코덱 1080 60P 인코딩 및 익스포트 내보내기 (Premiere Export) 최근 HD 동영상 촬영이 되는 캠코더 및 디카, DLSR 들이 대거 출시가 되면서 전문가가 아닌 저같은 일반인들도 쉽게 HD 동영상 촬영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버벅이지 않는 영상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포맷으로 인코딩을 하여 제공하는 것이 당연히 필요하겠죠 ? 그래서 오늘은 h264 코덱을 이용한 1920*1080 60P 영상 인코딩 및 내보내기(Export)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손가락 가볍게 눌러주시고 시작해보실까요 ?^^ 먼저 h264 코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PC에 코덱이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통합 코덱을 이용하셔도 좋고 h2..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